산업 기업

'K조선' 2년연속 세계 1위 내줘…中, 고부가 LNG선까지 맹추격

■영국 클락슨리서치 조사

올 수주 11% 줄어든 1564만 CGT

LNG 운반선 점유율은 70%로 '뚝'

어부지리 수주 中 30%로 격차축소







올해 한국 조선 업계가 지난해보다 수주량이 줄어 중국에 2년 연속 세계시장 1위 자리를 내줬다. 중국은 한국이 독점하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발주 물량도 어부지리로 휩쓸었다.

관련기사



29일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분석 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4193만 CGT(표준선환산톤수)로 지난해보다 22%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한국은 지난해 대비 11% 감소한 1564만 CGT(37%)를 수주하며 중국(2034만 CGT·49%)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2020년까지 3년 연속 수주 1위에 올랐지만 자국 발주 물량이 뒷받침된 중국에 지난해부터 수주 규모에서 뒤처지고 있다.

올해 수주 선종을 보면 한국은 LNG 운반선 등 가스 운반선에서 강세를 나타냈다. 국내 수주 선종은 LNG 운반선 1012만 CGT(65%), 컨테이너선 426만 CGT(27%) 순으로 집계됐다. 두 선종이 전체 수주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2%에 달했다. 반면 올해 벌크선은 1척도 수주하지 못했다.

중국은 컨테이너선 676만 CGT(33%), LNG 운반선 440만 CGT(22%), 벌크선 332만 CGT(16%) 순으로 수주량이 많았다. 올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LNG 수요 증가로 LNG 운반선 발주가 크게 늘면서 한국과 중국이 모두 혜택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전 세계에서 발주된 LNG 운반선 규모는 총 1452만 CGT로 전년 대비 130% 증가했다. 한국과 중국은 각각 1012만 CGT, 440만 CGT를 수주하며 70%, 30%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지난해 LNG 운반선 점유율은 각각 93%, 7%였다. 중국이 한국의 수주 물량 초과에 따른 반사이익을 누리며 점유율을 크게 올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LNG 운반선은 건조가 어렵고 선가가 가장 비싼 고부가가치 선박으로 꼽힌다. 올해부터 본격화한 24조 원 규모의 카타르 LNG 프로젝트를 발판으로 LNG 운반선 시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관계자는 “도크가 가득 찬 국내 조선사들이 2026년 후반이나 2027년 초반에 인도할 물량까지도 수주를 받아 추가 주문을 받기에 한계가 있다”면서 “빠른 공급을 원하는 선주들이 중국 조선 업체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우려했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