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美제재 보란 듯…"UAM 상용화 가시권·AI 기술력은 오픈AI 능가"

[속도내는 中 기술자립] 미래산업 기틀 만드는 유니콘

이항, 2인승 1~2년내 상업 운행

샤오펑·지리자회사도 다크호스

아이플라이텍·어니봇·큐웬 등

수준 높은 LLM 잇달아 선보여

로봇에 1000억위안 쏟아부어

휴머노이드 공급망 자급 자족

중국 광저우 이항 본사 전시관에 자율주행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 ‘EH216-S’가 전시돼 있다. 김광수 특파원중국 광저우 이항 본사 전시관에 자율주행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 ‘EH216-S’가 전시돼 있다. 김광수 특파원




드론 제작으로 10여 년 전 시작된 이항의 ‘하늘을 향한 꿈’은 도심항공교통(UAM) 제작으로 완성되고 있다.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 전문 제조 기업 이항은 개인용 비행체 제조 업체로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2016년 세계 최대 전자·정보기술(IT) 전시회인 CES에서 1인승 자율주행 드론 택시 ‘EH184’를 최초로 공개해 주목받았으며 2019년 미국 나스닥에도 상장했다.




중국 광저우에 위치한 이항 본사. 김광수 특파원중국 광저우에 위치한 이항 본사. 김광수 특파원


이항은 현재 2인승 eVTOL인 ‘EH216-S’의 상업 운항을 눈앞에 뒀다. 올 10월 찾은 이항의 광저우 본사에는 이항이 중국민용항공총국(CAAC)으로부터 획득한 형식인증, 감항인증(안전 비행 성능 인증), 생산허가증 등이 걸려 있었다. 중국 eVTOL 중 세 자격을 모두 획득한 곳은 이항이 유일하다. 허톈싱 이항 부사장은 “UAM 산업이 인류에게 가져다줄 변화는 엄청날 것”이라며 “그 중심에 중국이 있고, 이항이 이끌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항의 대표 모델 EH216-S는 최대 2명(260㎏)을 태우고 최고 시속 130㎞로 30㎞ 이내 거리를 25분간 비행할 수 있다. 허 부사장은 “선전을 비롯해 허페이·우시·타이위앤·원저우·우한 등에서도 1~2년 내에 상업 운행이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국 외에도 이항은 일본·스페인·한국·브라질·태국 등에서 시험비행을 하며 안전성을 입증했다.

이항뿐 아니라 전기차 업체 샤오펑의 자회사 샤오펑후이텐, 지리그룹의 자회사 에어로퓨지아 등도 UAM 분야의 다크호스로 평가된다. 중국은 이달 27일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산하에 저고도경제개발부(저공경제부)를 추가해 저공경제 발전 전략과 중장기 발전 계획의 시행 수립 등을 담당하게 했다.

중국 안후이성 허페이의 아이플라이텍 본사 전시관에서 아이플라이텍의 대규모언어모델(LLM) ‘쉰페이싱훠(스파크데스크)’과 오픈AI의 챗GPT 성능을 비교하고 있다. 김광수 특파원중국 안후이성 허페이의 아이플라이텍 본사 전시관에서 아이플라이텍의 대규모언어모델(LLM) ‘쉰페이싱훠(스파크데스크)’과 오픈AI의 챗GPT 성능을 비교하고 있다. 김광수 특파원




인공지능(AI) 분야의 성장도 눈부시다. 10월 찾은 허페이의 아이플라이텍(커다쉰페이)은 2019년 미국 정부의 블랙리스트에 올랐던 기업이다. 미국의 제재는 오히려 아이플라이텍의 기술 경쟁력을 키웠다. 핵심 기술 연구 및 제품 개발 플랫폼에 있어 상당한 수준의 자립에 성공했다.

관련기사



미국의 압박을 뚫고 아이플라이텍은 올 5월 대규모언어모델(LLM) ‘쉰페이싱훠(스파크데스크)’를 선보였고 다음 달에는 업그레이드까지 진행했다. 아이플라이텍 관계자는 “오픈AI의 챗GPT를 능가하는 기술력을 지녔다”며 다양한 기능을 시연했다. 음성으로 커텐을 여닫고 에어컨을 작동시키는 스마트홈 시스템의 중심이 되고, 차량에 장착해 스마트 드라이빙을 지원하기도 했다. 스마트 교육, 원격의료 등 기술 발전에 따라 변화하는 영역에서도 아이플라이텍의 역할이 기본이 됐다.

아이플라이텍 외에 바이두(어니봇), 알리바바(큐웬), 텐센트(혼원), 화웨이(팡구) 등도 LLM을 연이어 공개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중국 기업들은 오픈AI를 직간접적으로 이용하고 있는데 오픈AI는 올 7월부터 접근 시도를 차단했다.

미국의 규제로 고성능 칩을 제공받지 못하고 접근까지 막히면서 중국의 LLM 수준이 뒤처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중국에서 공산당 정부의 검열로 AI 학습이 어렵다”면서 “동시에 미국의 반도체 제재 때문에 AI 개발에 필요한 고성능 반도체도 부족하다”고 진단했다.

미래 기술 분야 가운데 중국이 최근 속도를 내고 있는 또 다른 영역은 로봇 산업이다. 올 8월 베이징에서 열린 ‘2024 월드로봇콘퍼런스’에는 산업용 로봇부터 휴머노이드 로봇까지 다양한 로봇들이 기술력을 뽐냈다. 특히 붓글씨를 쓰고, 와인을 따르고, 쿵후를 하는 휴머노이드 로봇은 인간 수준의 완성도를 보여줬다. 지난 10년간 중국이 로봇 산업에 투자한 규모는 1000억 위안을 넘어섰다.

물론 아직까지 미국의 로봇 기술이 중국에 비해 1~2년 정도 앞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하지만 중국은 이런 상황에도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서 공급망의 대부분을 자급자족하고 있다는 강점이 있다. 김진오 한국로봇산업협회장은 “25년 전 한국에서 로봇 산업 정책을 만들 때만 해도 중국의 데이터가 없었지만 지금 중국에서 모두를 놀라게 할 만큼 발전을 이룬 것은 중국이 만들어낸 기적”이라고 말했다.

중국 안후이성 허페이 아이플라이텍 본사 전시관에서 회사 관계자가 아이플라이텍의 음성 인식과 통역 기능에 대해 시연하고 있다. 김광수특파원중국 안후이성 허페이 아이플라이텍 본사 전시관에서 회사 관계자가 아이플라이텍의 음성 인식과 통역 기능에 대해 시연하고 있다. 김광수특파원


광저우·허페이·베이징=김광수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