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주한미군기지 12곳 반환…용산 개발 속도내나

용산 2개구역 돌려받아

공공주택 건설 등 탄력

서울 용산의 캠프 킴 모습.     /연합뉴스서울 용산의 캠프 킴 모습. /연합뉴스



서울 용산의 미군 기지 ‘캠프 킴’을 비롯해 전국의 12개 미군 기지가 반환된다. 이에 따라 반환 지역을 놓고 개발 논의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이지만 환경오염 정화 작업 등 해결해야 할 숙제도 적지 않다.

정부는 11일 미국과 제201차 주한 미군 지위 협정(SOFA·소파) 합동위원회를 화상으로 개최하고 11개 미군 기지와 용산 기지 2개 구역 등 12개 기지를 반환받기로 했다고 밝혔다. ★관련 기사 2면


이번에 반환에 합의한 곳은 사울 용산 미군 기지의 스포츠 필드와 소프트볼 경기장 등 2개 부지와 용산의 캠프 킴, 8군 종교 휴양소, 니블로배럭스, 서빙고 부지, 중구 극동공병단 등이다. 또 경기 의정부 캠프 잭슨, 하남 성남골프장, 동두천 캠프 모빌 일부와 대구 남구 캠프 워커 헬기장, 경북 포항 해군포항파견대, 강원도 태백 필승사격장 일부도 반환 기지에 포함됐다. 용산 기지 전체 이전과 반환이 본격 추진된 후 해당 지역이 우리 품에 돌아온 것은 처음이다.



반환 기지 가운데 극동공병단 부지에는 중앙 감염병 전문 병원이 건립되고 캠프 킴에는 공공 주택이 들어설 예정이다. 용산 기지 스포츠 필드, 소프트볼 경기장은 용산공원으로 활용되고 니블로배럭스는 원소유자에게 반환될 것으로 알려졌다. 서빙고부지, 8군 종교 휴양소 대지는 매각된다. 캠프 워커는 지자체가 매각해 도로가 건설될 예정이며 성남골프장과 캠프 잭슨, 캠프 모빌 일부도 매각한다. 필승사격장 일부와 해병포항파견대 부지는 우리 군에서 사용할 계획이다.



이 부지들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환경오염 정화 작업 등을 거쳐야 하는데 정부는 2~3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반환 대상 미군 기지는 앞으로 12개가 남았다.

최창원 국무조정실 1차장은 “반환받은 미군 기지들은 깨끗하고 철저하게 정화해 국민들이 안심하고 사용하실 수 있도록 하겠다”며 “용산 기지를 포함해 반환 대상인 기지들도 미국과 기지 이전 및 환경 협의 진행 상황, 지방자치단체의 지역 개발 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적절한 시점에 반환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